반응형

Excel 59

[EXCEL 함수] TODAY()

엑셀에서 TODAY 함수는 매우 유용한 함수 중 하나로, 오늘 날짜를 자동으로 반환하는 함수입니다. 이 함수는 날짜를 추적하고, 실시간 날짜 기반 계산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. 주로 현재 날짜를 기준으로 한 계산이나 데이터 관리에 사용되며, 반복적인 날짜 입력을 자동화하는 데 유용합니다.1. TODAY 함수 설명TODAY 함수는 인수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, 현재 시스템 날짜를 자동으로 반환합니다. 이 함수는 엑셀 파일을 열 때마다 자동으로 갱신되므로, 항상 실시간 날짜를 반영할 수 있습니다.구문:TODAY()TODAY 함수는 인수를 받지 않음으로, 함수 안에 아무 값도 넣지 않아도 됩니다. 단순히 괄호만 입력하면 현재 날짜가 반환됩니다.참고사항:TODAY 함수는 엑셀에서 사용하는 컴퓨터의 날짜 ..

EXCEL 2024.11.20

[EXCEL 함수] DATE(연도, 월, 일)

엑셀에서 DATE 함수는 날짜를 생성하거나 계산할 때 매우 유용한 함수입니다. 날짜를 특정 형식으로 입력하고 계산할 때, DATE 함수를 사용하면 연도, 월, 일을 직접 입력하여 날짜를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. 이 함수는 날짜 관련 작업을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게 도와주며, 다양한 상황에서 유용하게 활용됩니다.1. DATE 함수 설명DATE 함수는 주어진 연도, 월, 일 값을 바탕으로 정확한 날짜를 반환하는 함수입니다. 이 함수는 날짜를 입력하는 다양한 방식 중 하나로, 연도, 월, 일을 각각 숫자로 입력하여 날짜를 생성합니다.구문:DATE(연도, 월, 일)연도: 날짜의 연도를 지정합니다. (예: 2024)월: 날짜의 월을 지정합니다. (예: 5는 5월을 의미)일: 날짜의 일을 지정합니다. (예: 15일..

EXCEL 2024.11.20

[EXCEL 함수] TRUNC(숫자, [자릿수])

엑셀에서 TRUNC 함수는 숫자의 소수 부분을 잘라내고 정수 부분만 반환하는 함수입니다. 이 함수는 소수점 이하를 버리거나 무시할 때 매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. TRUNC 함수는 반올림이나 내림을 하지 않고, 단순히 소수 부분을 자르기만 때문에 정확한 수치 조정이 필요할 때 사용됩니다. 이번 글에서는 TRUNC 함수의 기본 사용법과 실제 예제를 통해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설명합니다.1. TRUNC 함수의 기본 구조TRUNC 함수의 구문은 다음과 같습니다:=TRUNC(숫자, [자릿수])숫자: 소수점을 잘라낼 숫자입니다.자릿수 (선택사항): 소수점 이하 몇 번째 자리까지 표시할지 지정합니다. 기본값은 0으로, 이는 정수만 반환하게 됩니다.예시:=TRUNC(12.345, 2)는 12.34를 반환합니다. 2..

EXCEL 2024.11.19

[EXCEL 함수] SUBTOTAL(함수_번호, 범위1, [범위2], ...)

엑셀에서 SUBTOTAL 함수는 데이터 집합에서 합계, 평균, 최대값, 최소값 등 다양한 통계 값을 계산할 수 있는 함수입니다. 다른 합계 함수들과 달리, SUBTOTAL 함수는 필터링된 데이터나 숨겨진 데이터를 제외한 값을 계산하는 데 유용합니다. 이 함수는 대량의 데이터 분석 시 매우 유용하며, 동적 통계 계산을 지원합니다. 이번 글에서는 SUBTOTAL 함수의 기본 사용법과 실제 예제를 통해 그 활용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.1. SUBTOTAL 함수의 기본 구조SUBTOTAL 함수의 구문은 다음과 같습니다:=SUBTOTAL(함수_번호, 범위1, [범위2], ...)함수_번호: 계산하려는 통계 종류를 지정하는 숫자입니다. 예를 들어, 합계를 구하려면 9를 사용합니다.범위1, 범위2, ...: 계산할 데..

EXCEL 2024.11.19

[EXCEL 함수] POWER(수치, 지수)

엑셀에서 POWER 함수는 주어진 수의 거듭제곱을 계산할 때 사용되는 함수입니다. 이 함수는 숫자를 특정 지수만큼 제곱하는 데 매우 유용하며, 수학적 계산이나 데이터 분석에서 자주 활용됩니다. 이 글에서는 엑셀 POWER 함수의 사용법과 다양한 예제를 통해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설명합니다.1. POWER 함수의 기본 구조POWER 함수의 구문은 매우 간단합니다:=POWER(수치, 지수)수치: 거듭제곱할 기본 숫자입니다.지수: 기본 숫자를 몇 번 거듭제곱할지 결정하는 지수입니다.예시:=POWER(2, 3)는 2를 3번 곱한 값을 반환합니다. 즉, 2^3 (2의 3제곱)은 8입니다.2. POWER 함수 사용 예제예제 1: 기본적인 거듭제곱 계산숫자지수결과2385225742401위 표에서 각 숫자에 대해 ..

EXCEL 2024.11.19

[EXCEL 함수] SUMPRODUCT(배열1, [배열2], [배열3], ...)

엑셀의 SUMPRODUCT 함수는 여러 배열이나 범위의 값을 곱하고, 그 결과를 더하는 함수로, 복잡한 계산을 간단히 해결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입니다. 이 함수는 특히 조건부 계산이나 다양한 계산을 한 번에 처리할 때 매우 유용합니다. 이 글에서는 SUMPRODUCT 함수의 기본적인 사용법과 실제 예제를 통해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.1. SUMPRODUCT 함수의 기본 구조SUMPRODUCT 함수의 구문은 다음과 같습니다:=SUMPRODUCT(배열1, [배열2], [배열3], ...)배열1, 배열2, 배열3: 곱셈할 배열이나 범위를 입력합니다. 각 배열의 크기는 동일해야 합니다.함수는 배열의 각 요소를 곱한 뒤 그 결과들을 더합니다.예시:=SUMPRODUCT(A2:A5, B2:B5)위 ..

EXCEL 2024.11.19

[EXCEL 함수] PRODUCT(숫자1, 숫자2, ... , 숫자n)

엑셀의 PRODUCT 함수는 주어진 숫자들의 곱셈을 계산하는 함수입니다. 여러 숫자를 한 번에 곱할 때 유용하며, 배열 또는 셀 범위 내의 숫자들을 곱하는 데 사용됩니다. 이 함수는 다양한 수학적 계산에 필요하며, 특히 복합적인 수치 계산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때 유용합니다.1. 엑셀 PRODUCT 함수 설명구문:PRODUCT(number1, [number2], ...)number1: 곱셈할 첫 번째 숫자입니다. 필수 인수로, 최소 하나의 숫자는 반드시 입력해야 합니다.number2, ...: 추가로 곱할 숫자들입니다. 최대 255개의 숫자를 입력할 수 있으며, 셀 범위나 배열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.기본 사용법: PRODUCT 함수는 입력된 숫자들 또는 셀 범위의 곱을 계산합니다. 예를 들어, 2, 3, ..

EXCEL 2024.11.18

[EXCEL 함수] MOD(분자, 분모)

엑셀 함수 MOD는 나머지를 계산하는 함수로, 두 숫자를 나눈 후 그 나머지를 반환합니다. 이 함수는 수학, 통계 및 데이터 분석에서 매우 유용하며, 특히 주기적인 계산이나 배수를 처리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. 예를 들어, 어떤 수가 특정 값으로 나누어떨어지는지 확인하거나, 숫자의 주기를 구하는 데 활용할 수 있습니다.1. 엑셀 MOD 함수 설명구문:MOD(number, divisor)number: 나머지를 구할 숫자입니다. 이 값은 나누는 수입니다.divisor: number를 나눌 **숫자(분모)**입니다. 이 값은 나누는 수로, 0으로 나누면 #DIV/0! 오류가 발생합니다.기본 사용법: MOD 함수는 number를 divisor로 나누고, 그 결과로 나온 나머지 값을 반환합니다. 예를 들어, 10을..

EXCEL 2024.11.18

[EXCEL 함수] PI()

엑셀 함수 PI는 수학에서 매우 중요한 상수인 파이(π) 값을 반환하는 함수입니다. 파이는 원의 둘레와 지름의 비율로, 대략적으로 3.14159로 알려져 있습니다. 이 함수는 주로 원 관련 계산이나 수학적 공식에서 사용됩니다. 엑셀에서 PI 함수를 사용하면 파이 값을 정확하게 구할 수 있기 때문에, 다양한 수학적 작업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.1. 엑셀 PI 함수 설명구문:PI()PI 함수는 인수를 받지 않으며, 파이(π) 값인 3.14159265358979를 반환합니다. 이 값은 원주율로, 수학과 공학에서 많이 사용되는 중요한 상수입니다.기본 사용법:PI 함수는 파이(π) 값을 그대로 반환하기 때문에, 별도의 인수 없이 사용됩니다. 이 값을 활용하여 원둘레나 원넓이 등 여러 수학적 계산을 쉽게 ..

EXCEL 2024.11.18

[EXCEL 함수] FACT(양의 정수)

엑셀 함수 FACT는 주어진 숫자의 **팩토리얼(factorial)**을 계산하는 함수입니다. 팩토리얼은 수학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으로, 주어진 숫자보다 작거나 같은 모든 자연수의 곱을 의미합니다. 예를 들어, 5의 팩토리얼은 5 × 4 × 3 × 2 × 1 = 120입니다. 엑셀의 FACT 함수를 사용하면 이러한 계산을 쉽게 할 수 있습니다.1. 엑셀 FACT 함수 설명구문:FACT(number)number: 팩토리얼을 계산하려는 양의 정수입니다. 숫자에 음수나 실수를 입력하면 함수가 #NUM! 오류를 반환합니다.기본 사용법:FACT 함수는 지정된 숫자의 팩토리얼을 반환합니다.팩토리얼을 구하는 일반적인 수학식처럼, 숫자 n에 대해 **n!**을 계산합니다.2. 엑셀 FACT 함수 예제예제 1: FACT..

EXCEL 2024.11.18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