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반응형
엑셀 INT 함수는 숫자의 정수 부분만을 추출하여 반환하는 함수입니다. 즉, 입력된 숫자에서 소수점 아래 부분을 버리고 정수만 남깁니다. 이 함수는 특히 계산된 결과에서 정수 부분만 필요한 경우나, 특정 수치의 내림 처리 등을 할 때 유용하게 사용됩니다.
INT 함수 문법
INT(숫자)
- 숫자: 정수 부분을 구하고자 하는 수입니다. 이 숫자는 양수 또는 음수일 수 있습니다.
INT 함수의 특징
- INT 함수는 내림(round down) 방식으로 소수점을 처리합니다. 즉, 입력값이 양수일 경우 소수점 아래 자리를 버리고, 음수일 경우에는 절댓값이 더 작은 정수로 내림 처리됩니다.
- 음수 처리: 음수에서 소수점 아래 자리를 버리면 값이 더 작은 정수로 내려가므로, 내림 처리 결과가 예상보다 작을 수 있습니다.
INT 함수 예제
예제 1: 양수의 정수 부분 구하기
=INT(5.67)
결과: 5
5.67의 소수점 아래 자리를 버리고 정수 부분인 5를 반환합니다.
예제 2: 음수의 정수 부분 구하기
=INT(-5.67)
결과: -6
-5.67에서 소수점 아래 자리를 버리면 -6이 됩니다. 음수일 경우 더 작은 정수로 내림 처리되기 때문입니다.
예제 3: 정수 입력값
=INT(10)
결과: 10
정수 10을 입력하면, 정수 부분이 그대로 반환됩니다.
실생활에서의 활용
- 금액 계산: 매출이나 비용 계산에서 소수점을 버리고 정수 부분만 반영할 때 유용합니다.
- 시간 계산: 특정 시간의 소수점 부분을 버리고, 시나 분 단위로 정리할 때 사용합니다.
- 내림 처리: 값이 소수점으로 나오는 계산에서 특정 기준값으로 내림 처리를 해야 할 때 INT 함수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.
결론
엑셀의 INT 함수는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정수만 필요할 때 유용한 함수입니다. 양수와 음수 모두 처리할 수 있으며, 특히 데이터 처리 시 필요한 정수 값을 정확하게 구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.
반응형
'EXCE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EXCEL 함수] ROUNDDOWN(숫자, 자릿수) (0) | 2024.11.14 |
---|---|
[EXCEL 함수] ROUND(숫자, 자릿수) (0) | 2024.11.14 |
[EXCEL 함수] SUMIF(범위, 조건, [합계_범위]) (0) | 2024.11.14 |
[EXCEL 함수] SUM(숫자1, 숫자2, ... , 숫자N) (0) | 2024.11.14 |
Microsoft Office의 EXCEL의 장점과 단점 (1) | 2024.11.13 |